본문 바로가기
쉽게 알아보는 경제_Easy Economy

금리 정의& 정리? 금리가 높고 / 낮음에 따른 투자처는 어디가 좋을까?

by 미래를 바라보다 2020. 2. 4.

금리 정의&정리? 

금리가 높고 낮음에 따른 투자처는 어디가 유리할까?

금리 (interest rate)

 한마디로 돈의 가격입니다. 일반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가격이 존재하듯이 돈을 빌려주고받는 금융 시장에서도 돈의 가격이 형성이 되는데요,

  금리란 이와 같이 자금이 거래되는 금융시장에서 돈을 공급자하는 사람(보통 은행) 돈이 필요한 사람(보통 개인)에게 자금을 빌려준 데 대한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또는 이자율을 뜻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리 [interest rate]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은행은 지난 2007년만 해도 5% 넘는 수준에서 기준금리를 운용한 바 있습니다.

그러다 이후 점진적인 인하에 나섰고 2015년부턴 1%대로 내린 뒤 2020년도 초 현재는 역대 최저 수준인 1.25%를 유지하고 있다.

 

금리에 따른 투자처는 어디가 적절할까요?

 

금리가 많이 높을 때↑ :: 은행 예금

금리가 높을때는 활황의 시기이며,
돈을 포함한 모든 물건의 수요가 높아지기 떄문에 물가와 이자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런 시기의 대표적인 투자 자산은 예금이됩니다. 

이 시기에 부동산을 대출 받아서 사기는 대출 금리가 비싸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재(2020년 초)와 같은 경우는 금리가 많이 낮은 편 (1.25%)이기 때문에

큰 돈을 벌기 위한 목적 보다는 목돈을  안전한 곳에 모아두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상품이 '금융권에서의 예금' 입니다.

 

금리가 최고 수준에서 떨어지고 있는 단계 ↓ :: 예금 보단 채권 투자

금리가 최고점을 찍고 떨어지는 단계에는 보통 인구수가 줄어들게 되고 경기가 저성장 국면을 맞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는 예금해 두었던 자금을 뺴서 채권을 매입하게 되는데요, 채권은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지만 예금 보다는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조금은 위험할 수 있겠지만 이자가 다소 높은 채권에 투자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가 높은데도 채권에 제테크를 한 사람은 더 높은 리스크에 투자를 했었으므로,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겠습니다.

 

금리가 가장 낮을 때의 투자처 :: 부동산 투자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이 낮은 금리를 유지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아시다시피 최근 부동산 시장의 열기는 뜨거웠는데요, 이때는 은행 예금이자는 물론 채권 이자도 낮은 편에 속하게 됩니다.

 

금리가 낮으면 대출 이자도 낮아지게 되니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서 아파트나 부동산을 구매 하기가 수월해집니다.

대출금리 보다 부동산을 통해서 얻는 수익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레버리지 효과를 이용한 갭투자를 활용한 것인데요.

전세금을 받고 또 아파트를 담보와 내 신용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서 갭투자를 하여 아파트에 투자 하는 방식이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성행 하는 방식 이였습니다.

 

금리가 바닥을 치고 다시 오르는 시기에는 ? :: 주식 투자

금리가 다시 오르는 시기에는 대출 금리도 오르기 때문에 변동금리(반대말 : 고정금리)의 대출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더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금리가 낮을 때 부동산을 샀던 사람들이 부동산을 서서히 정리하기 시작합니다.

 

금리의 상승은 경기가 좋아 지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도 증가하며 주식 시장도 자연스럽게 활성화 됩니다. 

다만 금리가 오르는 이유가 우리나라의 경기가 좋아져서가 아닌 타국의 금리에 영향을 받은 경우(주로 미국) 인 경우에는 주식이 적절하지는 않습니다. 

현재의 한국 기준금리는 1.75%인데, 미국 금리는 2.25% 정도입니다.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은 상황에서는 신흥국들의 달러가 미국으로 투자 되게 됩니다. 

한국은 달러 및 자본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 기준 금리를 올려서 방어를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국내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대출 금리와 연체 이자 모두 오르게 되며,  대출 받았던 분들은 이자 폭탄을 맞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 은행에서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애매한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여기까 금리의 정의와 금리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한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자료 : 토스 네이버 블로그 : 금리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나는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