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2 [경제 / 금융 용어] PBR _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PBR= 주가 / 주당 순자산 주가를 주당 순자산 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순자산이란 대차대조표의 총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을 말합니다.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PBR은 재무내용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입니다. PBR가 1이라면 특정 시점의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이 같은 경우이며 이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자산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되고.. 2020. 2. 18. [미국 주식] S&P500 란?? Standard & Poor's 500 index S&P500지수 [ Standard & Poor's 500 index ]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Standard & Poor) 사가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가 기업규모/유동성/산업 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 종목을 대상으로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 지수 미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공업주(400종목)·운수주(20종목)·공공주(40종목)·금융주(40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있으며, 이를 종합한 것이 S&P 500 지수입니다. 산출방법은 각 종목의 주가에 상장 주식 수를 곱하여 시가총액을 구하고, 전체의 시가 총액 합계를 기준연도인 1941~1943년의 평균 시가총액으로 나눈 뒤에 기준 시의 지수(10)를 곱하는 시가총액 방식입니다. 개별종목의 주가.. 2020.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