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이야기_Future Teller

[대한 민국 인구 감소 쇼크 시나리오] 2067년 미래의 모습과 노인 인구 증가 / 고령화 / 출산률 감소로 인한 인구 구성 변화 예측

미래를 바라보다 2020. 2. 3. 20:33

[대한 민국 인구 감소 쇼크 시나리오] 2067년 미래의 모습?? 

부제 :: 노인 인구 증가, 고령화와 출산률 감소로 인한 인구 구성 변화 예측

 

안녕하세요! 

최근 우리 나라 인구 감소로 인한 걱정들이  많은데요,

 

인구 감소 쇼크 시나리오 및 예측에 대한 자료들 그리고 2067년에 다가 올 대한민국의 모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3280950714135

 

우리나라의 인구는 2019년을 기준으로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아 지는 시점 입니다.

 

자료 : 통계청

그래프를 보시면, 2019년경에 인구 자연증가율(분홍색)이 0명이 되고

다 아시는 바와 같이 앞으로 현 상태와 동일하게 우리나라가 흘러가게 될 경우 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계속 줄어들게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중위 연령

 

출생자는 적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중간 나이는 높아지게 되고

2017년에는 42세이며 / 2031년 : 50세 / 2067년 : 62세  로 점점 가파르게 나이가 많아 집니다.

 

 [우리나라 인구 피라미드 변화] :: 1965년 / 2017년 / 2067년도 예상치]

 

 인구 통계학을 기반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해리 덴트경제 성장의 정점퇴보와 침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했고 이것이 후에 증명되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출처 해리 덴트 네이버 인물정보

 

미국의 경제학자 해리 덴트 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국가의 경제 유지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보통 소득 및 경제 활동이 가장 활발한 나이대를 40대로 보고 있고 있는데요,


통상적으로 40대 인구가 많이 늘어나는 경우를 경제적 호황기라고 하며, 40대 인구가 사라지는 시기를 침체기로 판단한다고 합니다.

위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우리나라의

  • 2017년도 대비 2067년에는 절반에도 못미치는 40대 인구가 예측
  • 2067년도에 20, 30대의 숫자는 40대 보다도 더 낮은 인구 수가 예측 되며

 미래의 우리 나라의 인구 구조는 경제적으로 침체기가 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그는 베이비 부머 세대가 40대가 되는 시점 이후 이들을 대체하는 인구가 나타나지 않을 때 경제 활동이 위축 되는 것은 필연적이게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의 경제 활동 인구가 부담해야 할 인구 수 역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경제 활동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노인, 유소년 인구
2017 100명의 경제 활동 인구 당 부양할 노인,유소년 인구 36명
2030 100명의 경제 활동 인구 당 부양할 노인,유소년 인구 53명
2050 100명의 경제 활동 인구 당 부양할 노인,유소년 인구 95명
2067 100명의 경제 활동 인구 당 부양할 노인,유소년 인구 120명

 

 

2017년도 기준으로 경제인구 1명0.3 명의 노인,유소년을 부양하면 된다면

50년이 지난 2067년에는 2017년도의 수준보다 4배나 많은 경제인구 1명1.2명의 노인, 유소년을 부양하게 됩니다.  

 

 전체 인구 중에서 생산연령인구(15세-64세)가 차지하게 되는 비중은 2017년 73.2%에서 2067년 45.4%까지 하락 할 것으로 보이며,

 반대로 같은 기간에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2017년도 13.8%에서 2067년도 46.5%까지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 출처 : 통계청

이상 2067년도 미래의 대한 민국의 인구 구조와 저출산 그리고 노인 인구가 많아 지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출처 : 통계청